"美 바이오 행정명령, 바이오 파운드리·분산 생산으로 대응해야" > PR

(주)큐어세라퓨틱스

"美 바이오 행정명령, 바이오 파운드리·분산 생산으로 대응해야"

작성자관리자

  • 등록일 23-03-08
  • 조회37회

본문

55d22bb08b98532a2df788218d8ba917_1678236664_9481.jpg
김태호 큐어세라퓨틱스 대표가 8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제3회 첨단재생의료 발전전략 포럼'에서 발표하고 있다./사진=김영원 기자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의 바이오 제조 행정명령과 관련해, 국내 세포·유전자 치료제(CGT) 산업이 바이오 파운드리와 분산 생산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8일 서울 코엑스에서 첨단재생의료산업협회 주최로 열린 '제3회 첨단재생의료 발전전략 포럼'에서 김태호 큐어세라퓨틱스 대표이사는 미국 바이든 대통령의 바이오 행정명령 대응 전략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앞서 지난 9월12일 바이든 대통령은 바이오 분야의 자국 생산을 강조하는 '국가 생명공학 및 바이오 제조 이니셔티브'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김 대표는 "미국에서 가장 활발히 논의되는 분야가 합성생물학과 바이오 파운드리 개념"이라며 "이런 관점에서 CGT는 상당한 연계성이 있어 국내 산업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전자 편집으로 기존 생명체의 기능을 변경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합성생물학은 유전자 및 구성요소를 설계·제작·조립해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어 활용한다. 바이오 파운드리는 합성생물학에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해 생물학적 시스템을 설계·제작해 제품을 신속하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이다.


김 대표는 미국의 바이오 파운드리 개념이 '분산 생산'에 집중돼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의 바이오 파운드리는 코로나19를 겪으며 편중된 지역에서만 산업이 발전하면 나라 전반에서 균형 발전이 되지 않는다는 관점으로 움직였다'며 "작은 규모의 공장을 많은 지역에 위치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김 대표는 키메릭항원수용체(CAR)-T 치료제 등 CGT의 특성에도 분산 생산 방식이 적합하다고 부연했다. 그는 "CGT는 특히 환자에 타겟해 만들기 때문에 자가 혹은 동종으로도 특정 인구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작은 규모의 생산을 추구해야 한다"며 "그 작은 규모의 환자들이 분산 생산에 맞다"고 말했다. 


55d22bb08b98532a2df788218d8ba917_1678236746_7351.jpg
 

 

하지만 현재 국내 CGT 산업은 전통적인 제조 방식에 머물러 있다는 것이 김 대표의 진단이다. 그는 전통적 제조의 문제점으로 CGT의 경우 합성의약품보다 제조단위(Batch) 사이즈가 작고, 공정 자동화가 이뤄지지 않아 많은 인력이 필요한 CGT 생산 인력이 부족하다는 점 등을 꼽았다. 김 대표는 "지역 분산 생산이 되면 많은 부분을 해결할 수 있다"며 "지역에서 만들어 지역에서 해소해 환자가 기다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지역 경제를 강화할 수 있다"고 했다.


아울러 이날 '미국 바이오 정책의 주요 이슈와 우리의 과제'를 주제로 발표한 김현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팀장 또한 합성생물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팀장은 "미국의 정책을 보면 합성생물학 적극 육성이 숨겨져 있다"며 "특정 하나의 기술이 바이오 산업 전체에 파급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상당히 드물다. 생생하게 이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출처 : 아시아경제 김영원 기자 forever@asiae.co.kr


Copyright©2023 주식회사 큐어세라퓨틱스, 지적재산권 보호대상본사: 수원시 영통구 센트럴타운로 114-6 천보광교타워 502호 (Tel: 031-214-3001), 연구소: 수원시 영통구 광교로 156 광교비지니스센터 601호(Tel: 031-8064-1660)